📽️ 사이드 프로젝트/디자인

[패캠/시각디자인 기초] 01-03. 타이포그래피 소개

처찬스 2023. 11. 11. 11:26

 

 

글자와 일상

글자는 항상 우리 주변에 있다

 

  • 정보 전달에 있어서 타이포그래피가 효과적으로 활용됨

타이포그래피는 글자를 다루는 활동이다

 

 

글자와 이미지의 차이(Letter / Image)

인간의 유추 능력

 

  • 글자는 글자이기 이전에 하나의 이미지 / 약속이 되어있는 기호
인간은 유추 능력이 있어서 형태가 바뀌어도 이해할 수 있다(ex. 형태가 다른 A를 읽는 것, 사람의 얼굴을 사람의 얼굴로 인식하는 것)

 

글자와 이미지

  • 글자: 정확한 의미 전달 가능
  • 이미지: 각자의 경험에 따라 다양한 연상이 가능한 자유로움이 있음
글자와 이미지의 상호작용이 있을 때 풍부하고 세련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타이포그래피의 이해

타이포그래피의 정의

타이포그래피는 활자를 다루는 기술이다

 

활자: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게 유형화하여 조립과 해체가 가능한 글자

 

Movable Type(움직임을 가진 활자)

 

  • 활자: 조립과 해체가 가능한 반복성을 가진 글자 / 엄격하며 경제적임(빠름)

 

 

레터링, 타이포그래피, 캘리그래피의 차이(Lettering / Typography / Calligraphy)

레터링 / 타이포그래피 / 캘리그래피

 

  • 레터링: 글자와 일러스트레이션의 결합
    • 의미 전달을 배가시킴, 장식적임
  • 타이포그래피: 글자의 배치·배열을 통해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
    • 엄격함
  • 캘리그래피: 반복성이 떨어짐
    • 개성이 많이 발현됨

 

 

타입의 특징과 타이포그래피의 정의

타입 배치와 배열

 

  • 타이포그래피는 규칙적이고 체계적임 / 빌딩을 짓는 것과 유사
  • 타이포그래피는 시각적 소통을 하기 위해 활자를 체계적으로 배열하고 배치하는 예술이다

 

 

활자꼴, 활자가족, 활자체, 폰트(Typeface, Typefamily, Font)

Type은 선택과 배치가 중요하다

활자꼴, 활자가족, 폰트

 

  • Typeface: 글자의 형태(글꼴)
  • Typefamily: 파생된 유사항 스타일(Roman, Italic, Bold 등)
  • Font: 같은 크기의 한 벌의 활자
    • Family 안에 크기가 다른 구성원들이 있음
    • 글자 크기가 다르면 다른 글자 체계를 가진 다른 폰트

 

 

활자, 폰트, 타입

납 활자와 디지털 폰트

 

폰트의 의미

  • 과거: 한 케이스 안에 들어 있는 같은 크기와 같은 서체의 활자(납 활자)
  • 현재: 모든 디지털 폰트(디지털로 오면서 폰트의 의미가 변경됨)

 

 

타이포그래피를 바라보는 방법

타이포그래피를 바라보는 관점 (이미지의 측면, 타입의 측면)

 

 

이미지를 바라보는 방법: 외연과 내연

  • 이미지: 자유로운 연상이 가능함 / 풍부한 의미 전달

 

사과를 바라보는 두 가지 방법(외연/내연)

 

외연(Denotation)

공항에서 사람들이 이동하는 장면을 외연으로 보는 방법

 

  • 사과를 먹는 음식이 아닌 그냥 동그라미의 순수한 형태로 보는 관점(순수한 구조적 형태)
    • 이미지를 조형적, 구조적으로 보는 방법

 

 

내연(Connotation)

공항에서 사람들이 이동하는 장면을 내연으로 보는 방법

 

  • 내포하는 의미로 보는 관점
    • 이미지는 다양한 맥락 안에서 수많은 의미로 읽힘, 자유로운 연상 가능'

 

 

외연과 내연의 차이

  • 외연은 조형적 판단이며, 내연은 다양한 맥락 안에서 연상 작용을 하는 방식
    • 하나의 이미지를 전혀 다르게 보는 방법
  • 이미지의 경험이 풍부할수록 내연이 증가함
    • 단, 이렇게만 바라보면 순수한 형태를 잃게 됨(고정관념이 생길 수 있음)

 

 

타입을 바라보는 방법

기능 & 감정(Function / Feeling)

타입의 외연과 내연

 

  • 타입을 감정(내연)으로 바라본 느낌: 딱딱하다, 부드럽다
    • ex) 감정이 잘 드러나는 영화 포스터
  • 타입을 기능적(외연)으로 바라본 느낌: 기본적인 크기가 어떻다, 비례감이 어떻다
    • ex) 지하철 시간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타입을 외연, 내연 중 무엇을 중심으로 할지 고민해 볼 수 있다.

 

 

기능으로 바라보기: 외연

  • 취향이 아닌 기능에 입각하여 바라봐야 함
    • 각각의 폰트의 장점을 파악하여 선택

 

외연으로 바라보는 예시: 명시성 있는 공항 간판

 

타입 선택에 대한 고민(1)
타입 선택에 대한 고민(2)

 

잘 읽히는지 테스트를 거침

  • 가로선을 그어 소문자의 크기를 확인: 세 번째 텍스트가 소문자의 크기가 가장 큼, 소문자가 많이 들어갈 경우 잘 읽히는 장점이 있음
  • 세로선을 그어 공간 효율을 확인: 같은 크기일 때 두 번째 텍스트가 가장 공간을 적게 차지함
  • 구조 분석: 문자의 끝처리가 열려 있어 스트로크가 뭉치지 않아 글씨가 작아도 더 잘 보이는 왼쪽 텍스트로 선택

 

최종 선택된 텍스트

 

 

감정으로 바라보기: 내연

  • 구조나 기능보다 느낌이나 감정을 바라보는 것

 

모차르트 앨범과 힙합 앨범

 

  • 모차르트 앨범: 화려한 글자를 통해 우아함, 클래식, 격식을 느끼게 해 줌
  • 힙합 앨범: 힘, 엣지, 강하다의 느낌

 

변경된 배스킨라빈스 로고

 

  • 교양 있고 우아한 디자인에서 귀엽고 통통 튀는 디자인으로 변경됨
    • 배라의 마케팅 포인트가 바뀐 것을 시각적으로 표현함

 

다양한 뉘앙스의 TV 프로그램 타이포그래피

 

  • 내연은 감정과 개성 전달이 우선

 

 

타이포그래피의 목적

타이포그래피의 목적

 

  외연 내연
타이포그래피의 목적 기능 중심 감정 중심
정보 전달 감성 전달 / 
감정 연출 /
이목을 끄는 역할

 

 


 

타이포그래피는 활자를 다루는 활동이다.
타이포그래피는 시각적 소통을 위해 활자를 체계적으로 배열하고 배치하는 예술이다.
타이포그래피는 배치, 배열을 통해 정보 전달을 해야 한다(외연, 구조).
타이포그래피는 독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타입을 이용해 연출할 수 있다(내연, 감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