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드 프로젝트/디자인
[패캠/시각디자인 기초] 01-02. 시각디자인 들여다보기
처찬스
2023. 11. 10. 14:47
시각 언어의 이해
시각언어 | 특징 |
구체적인 시각언어 (현실적인 이미지) |
특정인을 지칭 / 세밀함 |
추상적인 시각언어 | 범용적, 보편적 / 단조로움(가장 추성적인 시각언어: 글자) |
시각언어: 글자와 이미지의 차이
- 글자: 경제적, 명확함 / 제한적임(약속된 기호)
- 이미지: 다양성 / 정확한 의미 전달이 어려울 수 있음(의미 파악이 중요)
다양한 방법(레터링 기법)을 통해 글자와 그림의 경계를 허물기도함
- 사진: 구체적, 특정인을 지칭
- 아이콘: 범용적, 자유로움
- 심볼(글자를 포함): 더 범용적, 의미의 폭이 넓음 / 엄격하게 약속되어 있음 / 정확하게 전달됨
프로젝트의 성격과 클라이언트와의 합의를 통해 시각언어의 특징에 따라 전략적으로 사용한다.
아이콘과 심볼의 차이
- 심볼: 지칭하는 대상과 닮지 않은 것들을 통칭
- 고도로 추상화된, 약속된 기호이기 때문에 텍스트를 심볼이라고 부름
- ex) 하트, 글자, 주차장 표시
- 아이콘: 지칭하는 대상과 닮은 이미지
- 대상과 닮았다면 심볼이 아닌 아이콘이라고 표현
시각디자인의 요소
글자(TEXT)
- 글자라는 시각언어의 배치와 색상을 통해 정보뿐 아니라 다양한 뉘앙스도 전달 가능
- 글자는 가독성을 가지고 쓰일 뿐 아니라 하나의 브랜딩으로도 쓰임(통일적인 시각언어로도 쓰임)
글자(letter)의 종류
- 활자(Type): 이미 만들어진 세트(글자)로 반복성이 있음 / 속도가 빠름
- 이것을 전문적으로 연출하는 분야: 타이포그래피
- 손글씨(Handwriting): 자유로움 / 반복성이 떨어짐
- 이것을 전문적으로 연출하는 분야: 캘리그래피
이미지(image)
- 구체적이진 않지만 모호하고 자유롭기 때문에 상상을 일으키는 장점
- 감정, 무드 등을 전달하는 데에 강력
- ex) 앱, 패키지 패턴, 로고 등
- 직관적으로 표현하여 정보와 기능 전달에 용이
- 더 범용적이다(언어를 몰라도 이해가 가능)
- ex) 앱 아이콘
- 느낌을 전달하는 기능
- ex) 캐릭터
모호한 도형, 깔끔한 아이콘, 캐릭터, 구체적 이미지인 사진까지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쓸 수 있다.
이미지의 종류
구성(Composition)
- 구성(연출): 그리드와 레이아웃 등을 통해 글자와 이미지를 배치(연출)하는 것
구성의 예(이미지와 글자의 연출)
이미 있는 재료(글자(타이포그래퍼)와 이미지(포토그래퍼))를 활용해 적절하게 구성하는 일을 하는 것이 시각디자이너
글자와 이미지를 결합하는 방법
- 분리: 글자와 이미지의 메시지가 다를 수 있음
- 융합: 정보 이외의 메시지를 전달(ex. 레터링 기법)
- 분열
- 반전: 글자를 이미지처럼 다루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