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P] FileZilla 사용하기

FileZilla(파일질라)를 몇 번 사용해보기는 했지만 제대로 된 사용법도 모르고 대충 사용해왔는데 마침 생활코딩에 파일질라 강의가 있어서 한 번 보기로 했다.
사실 10분 정도의 짧은 강의라서 내용이 많지 않고 알고 있던 내용도 많았지만 꽤나 도움이 됐다.

 


FTP란?

FTP란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약(프로토콜)의 줄임말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통신 규약(프로토콜)은 HTTP가 있다. FTP와 HTTP는 둘 다 통신 규약이지만 용도가 다르다.
FTP는 인터넷을 통한 파일 송수신을 위해 고안된 서비스다. HTTP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그리고 HTTP가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로 나누어진 것처럼 FTP는 FTP 서버와 FTP 클라이언트로 나누어져 있다. 여기서 FileZilla가 FTP 클라이언트이다.

 

포트 번호(수동 모드 연결)

기본적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용 포트는 20번이고 신호 제어용 포트는 21번이다. 수동 모드를 사용하여 포트를 다른 번호로 할당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SFTP 연결

FTP 연결은 보안상의 문제가 있어서 보안성을 강화한 SFTP 연결이 있다.

SFTP 연결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전송 시 계정 정보 등을 암호화하여 해킹이나 보안 상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FTP란 무엇인가?. - 카메라맨]

 


FileZilla(파일질라)

사이트 관리자 탭

사이트 관리자 탭을 통해 기본 로컬 디렉터리까지 설정할 수 있다. 서버에 연결했을 때 로컬 디렉터리에서 열릴 폴더를 지정하는 것이다. 꽤 유용할 것 같다.

 

영역 구분

FileZilla를 처음 열면 이러한 화면이 뜬다. 대충 감으로 사용을 하고는 있었지만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게 되었다. 왼쪽은 로컬 사이트, 즉 FileZilla가 설치된 Desktop을 말한다. 그 안에서 상단은 파일 구조, 하단은 파일 리스트로 구분된다.
오른쪽은 리모트 사이트를 나타낸다. 리모트 사이트란 FTP 서버, 즉 원격 사이트를 말한다.

이렇게 구분된 영역을 통해 자유롭게 파일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