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초컷] 56화 - 수염](http://i1.daumcdn.net/thumb/C120x120/?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otImZ%2Fbtrv0PVZE6z%2FAAAAAAAAAAAAAAAAAAAAANqj-5HBSNtKlbO5LL-hIcqm1zFBLuje39bgY_CaYltU%2Fimg.jp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a%252BXDUkGJTxUsT6ERAvOSpR14Hco%253D)
[4초컷] 56화 - 수염
- 📽️ 사이드 프로젝트/웹툰·컷툰
- · 2022. 3. 14.
![[4초컷] 55화 - 꿈](http://i1.daumcdn.net/thumb/C120x120/?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o9iek%2Fbtrv0PuYKpq%2FAAAAAAAAAAAAAAAAAAAAACMpCTPJeBJbsS5KXAmUwBX9FUqiAIZIDLW1npyDPeSJ%2Fimg.jp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96QEaLMZ7HKEnjYd%252BhsWmYkLT1k%253D)
[4초컷] 55화 - 꿈
- 📽️ 사이드 프로젝트/웹툰·컷툰
- · 2022. 3. 14.
2018년에 인스타에 올렸던 만화. 하늘의 달도 매일매일 뜨느라 고생이 많다 :) 아직 스토리는 더 있지만 3화까지 그리고 그리지 못했다. 스토리가 마음에 들어서 같이 작업하기 원하시면 연락 주세요. ㅋㅋㅋ 그림 작가 찾습니다 :D
갤럭시 탭의 어플을 이용해 가계부(BuBoo)와 습관 트래커(마이루틴), 일기(My Diary)를 작성해 왔다. 각각의 앱을 찾는데도 엄청 많은 어플을 깔아보는 등 꽤 고생했었는 데 사용하다 보니 또 다른 불편함이 생겼다. 앱이 3개로 나누어져 있다 보니 너무 분산되어 있다는 느낌이고 PC로는 작성할 수 없다는 것이 불편해서 노션으로 통합 관리해 보기로 했다. 😉 노션의 장점 지금까지 써놓은 게 있고 옮기는 번거로움을 감수하고서 노션으로 갈아타기로 한 이유이기도 하다. 엄청난 연동성 : 가계부를 예로 들자면 아무리 좋은 가계부라도 나는 갤럭시를 쓰고 아내는 아이폰을 사용했기에 둘 사이에서 연동되는 어플을 찾기 쉽지 않았다. 겨우 찾은 게 BuBoo라는 어플이었지만 연동성을 제외한 부분에서 많이 아쉬웠다...
티스토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스킨을 쓰다가 스킨의 디자인이 제한적이라 새로운 스킨을 찾아보았다. 생각보다 금방 아주 아주 아주 마음에 쏙 드는 스킨을 찾아서 소개하려고 한다. 스킨의 이름은 "hELLO"로 지금 내 블로그의 스킨이다. 💻 스킨 적용 스킨을 적용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스킨을 다운로드한다. 스킨을 등록한다. [꾸미기 - 스킨 변경]에서 [스킨 등록] 버튼을 눌러 스킨을 추가한다. 이때 images 폴더 안의 파일도 추가해야 한다. [스킨 보관함]에서 등록한 스킨을 적용한다. 😊 스킨의 장점 1. 디자인이 깔끔하다. 티스토리 기본 스킨도 깔끔하지만 이 정도의 기능도 갖추고 있으면서 깔끔하기까지 해서 너무 좋다. 사이드바도 마음에 든다. 2. 카테고리의 목록 스타일이 다양하며 예..
깃을 공부하다가 Bash를 알게 되고 Bash를 공부하다가 리눅스를 알게 되고 리눅스를 공부하다가 Vim을 알게 되었습니다. Vim과 Bash를 조합하여 사용하면 마우스 없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기대감에 Vim을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요즘 손목이 아프거든요.. 학원에서는 윈도우OS의 Git Bash를 이용 중입니다. 맥북은 기본 터미널을 사용하다가 iTerm2로 zsh를 사용 중입니다. 1. Shell (Bash, zsh)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를 이용해 단순한 작업들은 키보드로만 하고 있습니다. (파일 삭제(rm)와 생성(touch), 폴더 삭제(rmdir)와 생성(touch), 파일 열기(cd, code) 등) 참고: Shell이란?, 윈도우의 cmd.exe는 다른 shell(bash..